이 아침의 명언.
- 작성자
- 정경이
- 2012-01-06 00:00:00
노숙신(조선시대1515~1590)이
임금에게 먼저 뜻을 세울 것을 청한 청선입지소의 한 대목.
"대저 뜻이란 기운을 통솔하는 장수입니다.
뜻이 있는 곳이면 반드시 기운이 함께 옵니다.
발분하여 용맹을 다하고 신속하게 떨쳐 일으나는 것은
힘을 쏟아야 할 곳이 있습니다.
산에 오르면서 꼭대기에 뜻을 두지 않는다면 이것은 스스로 그치는 것이 됩니다.
우물을 파면서 샘물이 쏟는 것에 뜻을 두지 않는다면
이것은 스스로 포기하는 것이 됩니다.
하물며 성현과 덕이 있는 큰사람이 되려면서 뜻을 세우지 않고 무엇으로 하겟습니까?
등산은 정상에 오를 목표를 세우고 차근차근 밟아 올라간다.
우물은 차고 단물을 얻을 때까지 파고 또 판다.
파다 만 우물은 쓸데가 없고 오르다 만 산은가지 않은 것과 같다.
목표를 세워 큰 일을 도모할 때는 심지를 크게 하고 뜻을 높이 세워야 한다.
뜻이 굳지 않으면 제풀에 그만두고 제 스스로 포기하고 만다.
목표를 향해 밀어 붙이는 힘은 굳센 뜻에서 나온다.
굳센 뜻이 없이는 추진하는 에너지가 생겨날 데가 없다.
하수일(조선1553~1612)은 젊은 시절 두 동생과 함께 청암사에서 글을 읽다가 절 뒷산에 올랐다. 정상에서 내려오면서 그 느낌을 이렇게 적었다.
[사군자는 몸 둘 곳을 마땅히 가려야 한다.
낮은 곳에 처하면 식견이 낮아지고
높은 곳에 처하면 식견이 높아진다.
높지 않은 곳을 택한 대서야 어찌 지혜를 얻으리.]
꼭대기에서는 시야가 툭 터져서 안보이는 것이 없었는데 내려올수록 시야가 좁아져서 답답해졌기에 한 말이다.
조광조(조선1482~1519)가 말했다.
[등산을 하면서 꼭대기까지 가려고 마음 먹은 사람은
비록 꼭대기까지 못 가더라도 산허리까지는 갈 수 있다.
만약 산허리까지만 가기로 작정한다면 산
임금에게 먼저 뜻을 세울 것을 청한 청선입지소의 한 대목.
"대저 뜻이란 기운을 통솔하는 장수입니다.
뜻이 있는 곳이면 반드시 기운이 함께 옵니다.
발분하여 용맹을 다하고 신속하게 떨쳐 일으나는 것은
힘을 쏟아야 할 곳이 있습니다.
산에 오르면서 꼭대기에 뜻을 두지 않는다면 이것은 스스로 그치는 것이 됩니다.
우물을 파면서 샘물이 쏟는 것에 뜻을 두지 않는다면
이것은 스스로 포기하는 것이 됩니다.
하물며 성현과 덕이 있는 큰사람이 되려면서 뜻을 세우지 않고 무엇으로 하겟습니까?
등산은 정상에 오를 목표를 세우고 차근차근 밟아 올라간다.
우물은 차고 단물을 얻을 때까지 파고 또 판다.
파다 만 우물은 쓸데가 없고 오르다 만 산은가지 않은 것과 같다.
목표를 세워 큰 일을 도모할 때는 심지를 크게 하고 뜻을 높이 세워야 한다.
뜻이 굳지 않으면 제풀에 그만두고 제 스스로 포기하고 만다.
목표를 향해 밀어 붙이는 힘은 굳센 뜻에서 나온다.
굳센 뜻이 없이는 추진하는 에너지가 생겨날 데가 없다.
하수일(조선1553~1612)은 젊은 시절 두 동생과 함께 청암사에서 글을 읽다가 절 뒷산에 올랐다. 정상에서 내려오면서 그 느낌을 이렇게 적었다.
[사군자는 몸 둘 곳을 마땅히 가려야 한다.
낮은 곳에 처하면 식견이 낮아지고
높은 곳에 처하면 식견이 높아진다.
높지 않은 곳을 택한 대서야 어찌 지혜를 얻으리.]
꼭대기에서는 시야가 툭 터져서 안보이는 것이 없었는데 내려올수록 시야가 좁아져서 답답해졌기에 한 말이다.
조광조(조선1482~1519)가 말했다.
[등산을 하면서 꼭대기까지 가려고 마음 먹은 사람은
비록 꼭대기까지 못 가더라도 산허리까지는 갈 수 있다.
만약 산허리까지만 가기로 작정한다면 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