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의 현업 활용
- 작성자
- 이승림
- 2016-03-15 00:00:00
사랑하는 아들 제희야
미디어 삼성에 인터뷰기사가 있어 읽고 요약해 본다.
[인문학 현업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1. 인문학은 무엇일까?
-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기르는 수단
- 사람을 이해하려는 학문
- 좀 더 깨어 있는 생각을 할 수 있도록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도구
* 인문학(humanities) : 인간과 인간의 근원문제 인간의 사상과 문화에 관해 탐구하는 학문
2. 인문학 속의 혁신(최근 기업이 혁신의 도구로 인문학 강조)
- 사람의 가슴을 뛰게 만드는 제품은 기술이 아닌 인문학에서 나온다
- 얼음이 녹으면 물이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아닌 얼음이 녹으면 봄이 온다고 생각하는 사람을
발탁하고 창조적 모험과 도전을 지원하는 것이 인문학적 지혜를 바탕으로 한 경영이다.
- 기업에서 인문학을 강조하는 이유는 인문학이 생각하는 힘을 기르는 학문이고 생각하는 힘은
곧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탁월한 문제해결 능력은 조직을 변화 혁신시킴)
- 동료보다 항상 세 배 빠르게 일한 아인슈타인과 어마어마하게 많은 문서를 종이 한 장으로
정리해낸 정약용의 업무 능력은 두 사람의 인문학 경지와 비례한다. 인문학과 일의 결합이
만드는 최고의 시너지는 세종대황처럼 일 자체가 세상을 변화시키는 평천하 수준이다
- 인문학적 사고가 정서함양에 긍적적 작용
3. 인문학을 어떻게 업무에 적용할 것인지?
- 인문학을 공부하고 생각을 많이하면 사전 지식과 빠른 이해력을 통해 순발력 있는
상황 대처가 가능
- 예) 사고보상팀에서 일하는 직원이 목수를 만나기 전 책을 통해 목수의 삶에 대해
알고 있다면 친근하게 공감대를 형성하
미디어 삼성에 인터뷰기사가 있어 읽고 요약해 본다.
[인문학 현업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1. 인문학은 무엇일까?
-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기르는 수단
- 사람을 이해하려는 학문
- 좀 더 깨어 있는 생각을 할 수 있도록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도구
* 인문학(humanities) : 인간과 인간의 근원문제 인간의 사상과 문화에 관해 탐구하는 학문
2. 인문학 속의 혁신(최근 기업이 혁신의 도구로 인문학 강조)
- 사람의 가슴을 뛰게 만드는 제품은 기술이 아닌 인문학에서 나온다
- 얼음이 녹으면 물이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아닌 얼음이 녹으면 봄이 온다고 생각하는 사람을
발탁하고 창조적 모험과 도전을 지원하는 것이 인문학적 지혜를 바탕으로 한 경영이다.
- 기업에서 인문학을 강조하는 이유는 인문학이 생각하는 힘을 기르는 학문이고 생각하는 힘은
곧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탁월한 문제해결 능력은 조직을 변화 혁신시킴)
- 동료보다 항상 세 배 빠르게 일한 아인슈타인과 어마어마하게 많은 문서를 종이 한 장으로
정리해낸 정약용의 업무 능력은 두 사람의 인문학 경지와 비례한다. 인문학과 일의 결합이
만드는 최고의 시너지는 세종대황처럼 일 자체가 세상을 변화시키는 평천하 수준이다
- 인문학적 사고가 정서함양에 긍적적 작용
3. 인문학을 어떻게 업무에 적용할 것인지?
- 인문학을 공부하고 생각을 많이하면 사전 지식과 빠른 이해력을 통해 순발력 있는
상황 대처가 가능
- 예) 사고보상팀에서 일하는 직원이 목수를 만나기 전 책을 통해 목수의 삶에 대해
알고 있다면 친근하게 공감대를 형성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