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讀書三到독서삼도
- 작성자
- 엄마
- 2017-01-11 00:00:00
讀書三到독서삼도
讀 읽을 독
書 글 서
三 석 삼
到 이를 도
* 풀이
독서하는데는 눈으로 보고 입으로 읽고 마음으로 깨우쳐야 한다는 뜻.
* 유래
송나라 때 주희의 (訓學齊規훈학제규)에 나오는 말이다. 주자에 의하면 돗서에는 세 가지 비결이 있다.
즉 口到구도 眼到안도 心到심도이다.
구도는 입으로 잘 읽는 것이다. 즉 잡담하면서 독서하지 않는 것이다.
안도는 눈으로 잘 보는 것이다. 즉 한눈을 팔지 않고 열심히 보는 것이다.
심도는 마음으로 잘 읽는 것이다. 즉 잡념과 망상을 버리고 전심해서 책을 읽는 것이다.
주자는 이 중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물론 심도라고 강조했다. 곧 정신을 통일하고 읽는 것이다.
요즘 학생들은 음악을 들으면서 책을 읽고 텔레비젼을 보면서 독서나 숙제를 한다.
이런 산만한 태도로는 독서와 공부의 효율은 떨어지기 십상이다.
출전: 주희의 (訓學齊規훈학제규)
지민아 시험보느라 고생많았다.
우리가 목표한대로 수학은 만점이구나. 잘했다. 이번 방학기간 동안 확실히 수학1등급의 기틀을 다져놓아야 한다.
하지만 수학에 집중한다고 다른 과목을 포기하지는 말아라..
공부는 요령이 있는거란다.
가장 기본은 수업시간에 최대한 집중하는 것이다.
주자가 이야기한 心到심도를 실천해 보아라.
선생님들은 많은 준비로 수업 한 시간 동안 꼭 알아야 하는 중요한 사항들을 강의하시는데
정신을 집중하지 않으면 많은 것들을 놓치게 된단다.
우선 수업시간에 선생님 이야기를 하나도 놓치지 말고 집중해서 듣고
반드시 그 날 저녁에(잊어버리기 전에) 수업을 다시 한 번 되새기면서 복습을 해라.
머리가 아무리 좋은 사람이라도 복습이 없는 공부는 결코 좋은 성적을 바랄수가 없단다.
공부할 시간이 모자랄 것 같지는 않지만 시간을 잘 활용하기 바란다.
그렇게만 한다면 성취도평가에서 60점을 받는 일은 없을거다.
한 가지에 집중한다고 해서 다른 것들은 모두 포기해버린다면
讀 읽을 독
書 글 서
三 석 삼
到 이를 도
* 풀이
독서하는데는 눈으로 보고 입으로 읽고 마음으로 깨우쳐야 한다는 뜻.
* 유래
송나라 때 주희의 (訓學齊規훈학제규)에 나오는 말이다. 주자에 의하면 돗서에는 세 가지 비결이 있다.
즉 口到구도 眼到안도 心到심도이다.
구도는 입으로 잘 읽는 것이다. 즉 잡담하면서 독서하지 않는 것이다.
안도는 눈으로 잘 보는 것이다. 즉 한눈을 팔지 않고 열심히 보는 것이다.
심도는 마음으로 잘 읽는 것이다. 즉 잡념과 망상을 버리고 전심해서 책을 읽는 것이다.
주자는 이 중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물론 심도라고 강조했다. 곧 정신을 통일하고 읽는 것이다.
요즘 학생들은 음악을 들으면서 책을 읽고 텔레비젼을 보면서 독서나 숙제를 한다.
이런 산만한 태도로는 독서와 공부의 효율은 떨어지기 십상이다.
출전: 주희의 (訓學齊規훈학제규)
지민아 시험보느라 고생많았다.
우리가 목표한대로 수학은 만점이구나. 잘했다. 이번 방학기간 동안 확실히 수학1등급의 기틀을 다져놓아야 한다.
하지만 수학에 집중한다고 다른 과목을 포기하지는 말아라..
공부는 요령이 있는거란다.
가장 기본은 수업시간에 최대한 집중하는 것이다.
주자가 이야기한 心到심도를 실천해 보아라.
선생님들은 많은 준비로 수업 한 시간 동안 꼭 알아야 하는 중요한 사항들을 강의하시는데
정신을 집중하지 않으면 많은 것들을 놓치게 된단다.
우선 수업시간에 선생님 이야기를 하나도 놓치지 말고 집중해서 듣고
반드시 그 날 저녁에(잊어버리기 전에) 수업을 다시 한 번 되새기면서 복습을 해라.
머리가 아무리 좋은 사람이라도 복습이 없는 공부는 결코 좋은 성적을 바랄수가 없단다.
공부할 시간이 모자랄 것 같지는 않지만 시간을 잘 활용하기 바란다.
그렇게만 한다면 성취도평가에서 60점을 받는 일은 없을거다.
한 가지에 집중한다고 해서 다른 것들은 모두 포기해버린다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