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韋編三絶위편삼절

작성자
엄마
2017-01-16 00:00:00
韋編三絶위편삼절

韋 다룸가죽 위
編 엮을 편
三 석 삼
絶 끊을 절

* 풀이
가죽으로 맨 책 끈이 여러 차례 끊어지다. 독서에 힘쓰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유래
공자는 말년에 주역에 심취해서 “하늘이 나를 몇 년 더 살게 해 준다면 50살에 주역을 공부할 것이다. 그리하면 큰 허물이 없을 것이다.”라고 말할 정도로 주역을 중요시했다.
이렇게 주역 연구에 몰두한 나머지 죽간을 이은 가죽끈이 닳아 끊어질 정도였다는 이야기가 있다.

고대의 책(冊)은 대나무를 직사각형으로 잘라 여러 장을 가죽 끈으로 엮어 만들었다. 그래서 책을 많이 읽다 보면 가죽 끈이 끊어지기도 했다. ‘위편삼절’이란 가죽 끈이 여러 차례 끊어졌다는 뜻이다.


날씨가 많이 춥다. 건강은 괜찮은거겠지?

어제 성취도평가 시험은 잘 봤는지 궁금하구나.

공자는 춘추시대에 상당히 똑똑하고 인격적으로도 훌륭한 사람이었다. 현세에서 손꼽는 4대성인 중 한 분이니 말할 것도 없겠지.

유교의 시조로서 중국 최초의 민간 사상가이자 교육자이며 학문에 있어서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는 공자도 잘 모르는 주역을 공부하기 위해 가죽끈이 닳아 없어질 정도로 공부를 했단다.

공부는 그렇게 하는 거란다.
뛰어난 머리로 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파고드는 자세로 하는 것이지.

오히려 가끔은 뛰어난 머리가 독이 되는 경우도 있단다.
한 번 보니 대충 이해할 것 같아 스윽 넘어가다 보면 실전에 가서 실수나 얕은 이해로 틀린 답을 내는 경우가 많단다.

어제도 이야기했지만 지금은 만점 성적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네가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제대로 이해했는지 부족한 부분이 없는 지 확인하고
모자라는 부분을 채우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더 중요하단다.

엄마는 행여나 네가 자만하지는 않을까 걱정이다.
이해력이 뛰어난 아이들이 머리만 믿고 설렁설렁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지.

대충 답을 맞출 수 있었다고 해서 안다고 생각하지 말아라.
완벽하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