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男兒須讀五車書남아수독오거서
- 작성자
- 엄마
- 2017-01-17 00:00:00
男兒須讀五車書남아수독오거서
男 사내 남
兒 아이 아
須 모름지기 수
讀 읽을 독
五 다섯 오
車 수레 거
書 글 서
*풀이
남자는 모름지기 다섯 수레의 책은 읽어야 한다.
* 유래
장자(莊子)의 천하편에 나오는 惠施多方其書五車(혜시다방기서오거)에서 유래한 말로 장자가 친구 혜시의 장서를 보고 박학다식한 혜시가 많은 책을 읽은 것에 기인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유명해지기는 당나라 시인 두보杜甫의 시詩 제백학사모옥 題柏學士茅屋에 인용되어 유명 한 구절이다.
富貴必從勤苦得 부귀필종근고득 - 부귀는 반드시 근면한 사람이 얻으니
男兒須讀五車書 남아수독오거서 - 남자는 반드시 다섯 수레의 책을 읽어야 하느니라
잘 지내고 있니?
남아수독오거서는 원래 장자가 친구인 혜시가 책이 많은 것을 보고 한 말이다.
그런데 장자편에 보면 혜시가 장자에게 질문하는 장면이 많이 나오는데 언제나 장자만큼 생각이 깊지는 못해서 좀 모자라는 사람이 아닌가 했더니 당시 시대에선 대단한 지식인이었던 거지.
장자가 너무 훌륭하다 보니 상대적으로 모자라보였던것일뿐.
예나 지금이나 독서는 중요하다. 지금은 독서와 공부를 구분하지만 옛날에는 독서가 단순히 책을 읽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공부를 통칭하는 의미였단다.
표현자체는 책을 다섯수레는 읽어야 한다고 했지만 그냥 눈으로 읽기만 하는 걸 의미하지는 않는다.
지난 번 보냈던 독서삼도에서 보듯이 책을 심독을 해야 하는 것이지.
유성룡이 서애집에서 한 말을 보면 좀 더 잘 알 수 있단다.
"독서는 풍요롭고 지혜로운 삶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되도록 많은 책을 읽어서 폭 넓게 지식을 쌓아야 한다. 그러나 아무리 많은 책을 읽어도 생각하지 않으면 그 책은 종이뭉치와 다름없다. 다독은 분명 필요하지만 외형에만 집착하고 독서의 목적을 입시에만 두는 그런 다독은 아이에게 결코 도움이 되지 못한다. 한 권을 읽더라도 깊이 생각하면서 스스로 터득
男 사내 남
兒 아이 아
須 모름지기 수
讀 읽을 독
五 다섯 오
車 수레 거
書 글 서
*풀이
남자는 모름지기 다섯 수레의 책은 읽어야 한다.
* 유래
장자(莊子)의 천하편에 나오는 惠施多方其書五車(혜시다방기서오거)에서 유래한 말로 장자가 친구 혜시의 장서를 보고 박학다식한 혜시가 많은 책을 읽은 것에 기인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유명해지기는 당나라 시인 두보杜甫의 시詩 제백학사모옥 題柏學士茅屋에 인용되어 유명 한 구절이다.
富貴必從勤苦得 부귀필종근고득 - 부귀는 반드시 근면한 사람이 얻으니
男兒須讀五車書 남아수독오거서 - 남자는 반드시 다섯 수레의 책을 읽어야 하느니라
잘 지내고 있니?
남아수독오거서는 원래 장자가 친구인 혜시가 책이 많은 것을 보고 한 말이다.
그런데 장자편에 보면 혜시가 장자에게 질문하는 장면이 많이 나오는데 언제나 장자만큼 생각이 깊지는 못해서 좀 모자라는 사람이 아닌가 했더니 당시 시대에선 대단한 지식인이었던 거지.
장자가 너무 훌륭하다 보니 상대적으로 모자라보였던것일뿐.
예나 지금이나 독서는 중요하다. 지금은 독서와 공부를 구분하지만 옛날에는 독서가 단순히 책을 읽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공부를 통칭하는 의미였단다.
표현자체는 책을 다섯수레는 읽어야 한다고 했지만 그냥 눈으로 읽기만 하는 걸 의미하지는 않는다.
지난 번 보냈던 독서삼도에서 보듯이 책을 심독을 해야 하는 것이지.
유성룡이 서애집에서 한 말을 보면 좀 더 잘 알 수 있단다.
"독서는 풍요롭고 지혜로운 삶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되도록 많은 책을 읽어서 폭 넓게 지식을 쌓아야 한다. 그러나 아무리 많은 책을 읽어도 생각하지 않으면 그 책은 종이뭉치와 다름없다. 다독은 분명 필요하지만 외형에만 집착하고 독서의 목적을 입시에만 두는 그런 다독은 아이에게 결코 도움이 되지 못한다. 한 권을 읽더라도 깊이 생각하면서 스스로 터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