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피지기 백전불태(知彼知己 百戰不殆)
- 작성자
- 엄마
- 2017-01-25 00:00:00
지피지기 백전불태(知彼知己 百戰不殆)
知彼知己 百戰不殆. 不知彼而知己 一勝一負. 不知彼 不知己 每戰必殆.
(지피지기 백전불태. 부지피이지기 일승일부. 부지피 부지기 매전필태.)
* 풀이
제3편 〈모공(謀攻)〉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 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
적을 알지 못하고 나를 알면 한 번 이기고 한 번 진다.
적도 모르고 나도 모르면 싸울 때마다 반드시 위태롭다.
* 해설
적을 알고 나를 알면 위태롭지 않다
《손자병법》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구절은 바로 ‘지피지기(知彼知己)면 백전백승(百戰百勝)’이다. 그런데 이 말은 《손자병법》에서 눈을 씻고 찾아 봐도 보이지 않는다. 백 번 싸워서 백 번 모두 이기는 것이 가능한 것일까? 역사상 백전백승한 장수는 한 명도 없었다.
그래서 손무는 ‘이긴다’라는 승(勝) 대신 ‘위태롭다’는 태(殆)를 선택했다. 백 번 싸워도 ‘불태(不殆)’ 즉 ‘위태롭지 않다’라는 것이다. 상식적으로 적군의 허(虛)와 실(實)을 알고 나의 강함과 약함을 모두 알고 있는 상황이라면 최소한 적과 백 번쯤 교전하여도 위태로운 상황에 빠지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모든 상황에서 이길 수 있는 승리의 법칙이란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손무는 솔직하게 털어놓고 있다.
그렇다면 적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최소한 나에 대해서만큼은 내가 제일 잘 알고 있다면 어떨까? 손무는 한 번 지고 한 번 이긴다고 했다. 적의 상황을 몰라도 아군의 전투력만 잘 파악하고 있다면 이길 가능성이 50퍼센트나 된다는 말이다. 경쟁사의 잠재력이 어느 정도인지 몰라도 내 회사의 강점과 취약점을 제대로 파악하고 있다거나 상대에 대한 정보가 없지만 나의 장단점만이라도 명확하게 알고 있다면 승산의 반을 확보할 수 있다는 말이다. 왜? 적을 아는 것보다 나 자신을 제대로 아는 것이 더 어렵기 때문이요 승리는 내가 만들어 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적을 알지도 못하고 자기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조차 파악하
知彼知己 百戰不殆. 不知彼而知己 一勝一負. 不知彼 不知己 每戰必殆.
(지피지기 백전불태. 부지피이지기 일승일부. 부지피 부지기 매전필태.)
* 풀이
제3편 〈모공(謀攻)〉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 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
적을 알지 못하고 나를 알면 한 번 이기고 한 번 진다.
적도 모르고 나도 모르면 싸울 때마다 반드시 위태롭다.
* 해설
적을 알고 나를 알면 위태롭지 않다
《손자병법》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구절은 바로 ‘지피지기(知彼知己)면 백전백승(百戰百勝)’이다. 그런데 이 말은 《손자병법》에서 눈을 씻고 찾아 봐도 보이지 않는다. 백 번 싸워서 백 번 모두 이기는 것이 가능한 것일까? 역사상 백전백승한 장수는 한 명도 없었다.
그래서 손무는 ‘이긴다’라는 승(勝) 대신 ‘위태롭다’는 태(殆)를 선택했다. 백 번 싸워도 ‘불태(不殆)’ 즉 ‘위태롭지 않다’라는 것이다. 상식적으로 적군의 허(虛)와 실(實)을 알고 나의 강함과 약함을 모두 알고 있는 상황이라면 최소한 적과 백 번쯤 교전하여도 위태로운 상황에 빠지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모든 상황에서 이길 수 있는 승리의 법칙이란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손무는 솔직하게 털어놓고 있다.
그렇다면 적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최소한 나에 대해서만큼은 내가 제일 잘 알고 있다면 어떨까? 손무는 한 번 지고 한 번 이긴다고 했다. 적의 상황을 몰라도 아군의 전투력만 잘 파악하고 있다면 이길 가능성이 50퍼센트나 된다는 말이다. 경쟁사의 잠재력이 어느 정도인지 몰라도 내 회사의 강점과 취약점을 제대로 파악하고 있다거나 상대에 대한 정보가 없지만 나의 장단점만이라도 명확하게 알고 있다면 승산의 반을 확보할 수 있다는 말이다. 왜? 적을 아는 것보다 나 자신을 제대로 아는 것이 더 어렵기 때문이요 승리는 내가 만들어 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적을 알지도 못하고 자기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조차 파악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