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
- 작성자
- 1
- 2020-11-10 00:00:00
세민아. 아빠닷
수능실감 듣기모의고사 랑 이투스장바구니에 담긴 것 어제 시켰다.
내일쯤 도착하려나 모르겠네.
힘들어도 계획데로 잘 해. 포기하면 안된당. 수능이 인생의 전부는 아니지만 수능20여일 남은 지금은 수능에 올인해야만 한다. 수능끝나면 시간 많이 생기니 그때 보상받자.
여지껏 잘해왔다. 모의고사 점수 잘안나와도 포기만하지 않고 패이스유지하면 수능때 잘나올수있다.
왜냐? 수능 문제는 뭐가 나올지 모르거덩. 노력한 만큼 너에게 유리하게 나올수 있다.
최선을 다해주길 바란다. 꼭 잘쉬고 말이다.
꼭 충분히 휴식할 수 있는 시간 운동시간 균형잘잡고.
알겠지만 국영수탐구등 공부시간 밸런스 잘 잡고.
아예 시험보는 시간에 그공부하는것도 좋겠지.
다시한번 강조한당 잘 쉬는 것도 능력이닷.ㅎ
개도 중2병을 겪는다?
견생(犬生)은 인생(人生)의 축소판이다.
개는 사람과 비슷하게 유·아동-청소년-청년-중년-노년을 겪으며 성격이 변한다. 중2병 같은 사춘기를 겪는 개가 있는가 하면 태어나면서 다른 새끼들보다 의젓하고 조숙한 애늙은이 스타일도 있다.
미국 뉴욕타임스가 개의 일생을 통해 인간의 삶을 연구한 성과를 소개했다.
◆ 사춘기 = 영국 뉴캐슬 대학교 등 연구진에 따르면 개도 사람과 비슷한 사춘기를 겪는다. 훈련 가능성과 명령에 대한 반응이 감소하는 시기다. 인간의 아이들이 부모의 말을 듣지 않는 이유 없는 반항의 시기와 비슷하다. 다만 개가 반항하는 상대는 진짜 어미가 아니라 견주(犬主)라는 점이 다르다.
◆ 개와 사람의 나이 =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등의 연구에 따르면 둘의 나이에는 사람 나이 = 17 곱하기 Ln(개 나이) 더하기 31의 관계가 있다. Ln은 자연로그. 공식에 따르면 생후 8주 강아지는 인간 9개월 아기와 비슷하고 한 살짜리 개는 서른 살 성인 12살 먹은 개는 약 70세 노인에 해당한다. 공식은 인간과 개의 노화 과정을 비교하는 과정에서 도출됐다. 나이를 먹으며 DNA를 둘러싼 단백질 등이 화학적으
수능실감 듣기모의고사 랑 이투스장바구니에 담긴 것 어제 시켰다.
내일쯤 도착하려나 모르겠네.
힘들어도 계획데로 잘 해. 포기하면 안된당. 수능이 인생의 전부는 아니지만 수능20여일 남은 지금은 수능에 올인해야만 한다. 수능끝나면 시간 많이 생기니 그때 보상받자.
여지껏 잘해왔다. 모의고사 점수 잘안나와도 포기만하지 않고 패이스유지하면 수능때 잘나올수있다.
왜냐? 수능 문제는 뭐가 나올지 모르거덩. 노력한 만큼 너에게 유리하게 나올수 있다.
최선을 다해주길 바란다. 꼭 잘쉬고 말이다.
꼭 충분히 휴식할 수 있는 시간 운동시간 균형잘잡고.
알겠지만 국영수탐구등 공부시간 밸런스 잘 잡고.
아예 시험보는 시간에 그공부하는것도 좋겠지.
다시한번 강조한당 잘 쉬는 것도 능력이닷.ㅎ
개도 중2병을 겪는다?
견생(犬生)은 인생(人生)의 축소판이다.
개는 사람과 비슷하게 유·아동-청소년-청년-중년-노년을 겪으며 성격이 변한다. 중2병 같은 사춘기를 겪는 개가 있는가 하면 태어나면서 다른 새끼들보다 의젓하고 조숙한 애늙은이 스타일도 있다.
미국 뉴욕타임스가 개의 일생을 통해 인간의 삶을 연구한 성과를 소개했다.
◆ 사춘기 = 영국 뉴캐슬 대학교 등 연구진에 따르면 개도 사람과 비슷한 사춘기를 겪는다. 훈련 가능성과 명령에 대한 반응이 감소하는 시기다. 인간의 아이들이 부모의 말을 듣지 않는 이유 없는 반항의 시기와 비슷하다. 다만 개가 반항하는 상대는 진짜 어미가 아니라 견주(犬主)라는 점이 다르다.
◆ 개와 사람의 나이 =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등의 연구에 따르면 둘의 나이에는 사람 나이 = 17 곱하기 Ln(개 나이) 더하기 31의 관계가 있다. Ln은 자연로그. 공식에 따르면 생후 8주 강아지는 인간 9개월 아기와 비슷하고 한 살짜리 개는 서른 살 성인 12살 먹은 개는 약 70세 노인에 해당한다. 공식은 인간과 개의 노화 과정을 비교하는 과정에서 도출됐다. 나이를 먹으며 DNA를 둘러싼 단백질 등이 화학적으
댓글